천문학20 고대 천문학: 고대 천문학자들의 우주론 I 고대 천문학: 고대 천문학자들의 우주론 I인류는 오래전부터 다른 세계를 상상해 왔습니다. 지역과 문화에 따라 신들의 세계 또는 영혼의 세계를 상상하기도 했지만, 기원전 4세기 키오스의 메트로도루스나 기원전 5세기 아낙사고라스, 데모크리토스처럼 당시 나름의 논리와 과학적 시선으로 지구 바깥세상의 존재를 추론하는 철학자들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후대 철학자들은 정반대의 생각을 했습니다. 지구는 유일무이하다는 믿음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프톨레마이오스를 거쳐 성장했고,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는 천동설로 발전해 16세기까지 유럽을 지배했습니다. 15세기부터 16세기까지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요하네스 케플러, 갈릴레오 갈릴레이 등과 같은 근대천문학의 선구자들에 의해 지동설이 태동했고 지동설은 많은 마찰을 거.. 2024. 1. 26. 천문학의 역사 1: 천문학의 시작 고대부터 근대 이전 천문학의 역사 1: 천문학의 시작 고대부터 근대 이전 천문학의 시작 인류는 언제부터라고 정확히 말할 수 없을 만큼 수천 년 전부터 주술적 목적으로 하늘과 별의 위치를 측정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후 농경시대가 열리자 달력 제작, 제례 의식, 전략 수립 등 여러 실용적인 목적을 위해 천체들의 운동에서 정합성과 규칙성을 추출하려는 시도를 하게 되었습니다. 천문학은 실용과학으로서 하늘에 있는 별과 행성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시간을 추적하는 최고의 도구였으며 이는 농업, 종교의식 및 항해의 기본이었습니다.이러한 시도들은 그리스, 이집트, 바빌로니아, 인도, 중국 등지에서 각기 다른 시기, 다른 목적으로부터 시작되었으나, 왕국이 건설되면서 천문을 담당하는 부서가 생기는 것을 계기로 점차 체계화되었습니다. 하.. 2024. 1. 25. 이전 1 2 3 4 다음